강아지의 조상이 늑대였을까?

2022. 2. 12. 00:03반려동물지식

안녕하세요 시바견 김군을 키우는 강아지백과사전입니다

 

요즘 저는 강아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강아지 관련 도서를 읽고 있습니다

여러 책에서 강아지의 조상이 늑대라는 말이 많이 나오더라구요

 

1. 강아지의 조상은 늑대?

늑대를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귀엽고, 강아지와 닮았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강아지와 늑대의 관계에 대해 

1. 늑대가 사람과 함께 생활을 하면서 늑대와 개로 종분화가 되었다는 설

2. 늑대가 개의 선조가 아닌 가까운 친척 관계라는 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말이 나오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늑대와 개의 유전자는 99% 이상의 확률로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유전자 검사를 할 때 99% 이상이면 친자라고 말을 하는 것처럼 늑대와 개의 긴밀성은 매우 높습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늑대와 개는 이종교배가 가능하며,

늑대와 개 사이에서 나온 늑대개 역시 번식 능력을 가집니다

 

 

처음에는 늑대가 개의 조상일 수가 있을까?에 대해 저는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사진을 보니 제가 키우는 시바견 김군과 매우 비슷한 모습입니다

 

2. 늑대와 시바견

실제로 강아지 중 늑대와 가장 가까운 품종은 시바견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시바견이 실외 배변, 야생 기질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의 반려견도 시바견인데 날아다니는 새, 공 등을 잡는 걸 매우 좋아합니다 

다른 강아지와 달리 하늘을 바라보며 날아다니는 새 구경을 즐깁니다

새들에게 달려가면 새들이 도망가는 가는 걸 즐기는 것 처럼 보입니다 

 

3. 늑대

늑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늑대는 멸종위기의 야생동물로 지정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의 늑대는 절멸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늑대는 육식성으로 가축 등을 잡아먹고 그 식성도 대단합니다

늑대의 넘치는 식성 때문에 과거 식량을 구하러 다녀야 하는 인간에게 늑대는 해로운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그로 인해서 많은 늑대들이 사냥당했습니다

특정나라에서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한국 역시 일제 강점기시대 늑대는 사람들에게 해로운 동물로 몰렸습니다

 

대부분 멸종위기의 동물은 인간의 욕심 때문에 철저히 희생된 것 같습니다

멸종위기 동물로 지정되면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호한다는 게 한편으로는 씁쓸한 마음이 듭니다

 

늑대의 털 색은 계절마다 색이 다릅니다 

개와 늑대는 유전적으로 99% 이상 일치하지만 늑대를 새끼 때부터 사람과 함께 키우면 어느 정도 길은 들일 수 있으나

강아지처럼 키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야생성이 언제 드러날지도 모르고 늑대는 장난이라고 해도 사람에게는 엄청난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강아지 같은 경우에도 간식을 줄 땐 사람에게 애교를 부리다가 자신의 간식을 만지면 으르렁 거리는 친구들도 있죠

동물 그 자체의 본성에 대해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3-1. 늑대와 늑대소년

늑대들에게 길러져 늑대와 생활한 유명한 일화 늑대소년이 있습니다

한 소년이 우연히 늑대를 만났는데 늑대의 무리가 이 소년을 아이처럼 돌봐주었다고 합니다

적들로부터 소년을 보호해주고 자연스럽게 늑대 무리와 소년은 동굴에서 함께 살았습니다 

우연이 사람들에게 발견되었을 때 늑대소년은 사람의 언어를 잊은 상태였습니다 

 

사람들이 구출하였지만 오랫동안 숲에서 살았기 때문에 늑대소년은 사람들과 어울리기가 힘들었습니다 

세월이 지나고 이 남성은 늑대와 생활하기 위해 다시 숲을 찾았지만 개발로 터는 살아졌고 다른 늑대 무리는 그를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그에게는 늑대 무리와 함께한 세월이 더욱 행복했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늑대와 사람이 함께 생활할 수 있었는지 정말 신기합니다

성인이 아닌 어린 소년의 순수함으로 늑대와 친구가 될 수 있었던 건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3-2 늑대가 아우 하며 우는 이유

늑대는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입니다

늑대가 머리를 하늘로 올리고 우는 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무리생활을 하는 늑대가 우는 이유를 아래와 같이 추측한다고 합니다

 

1. 동료 늑대에게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2. 사냥을 위해 무리를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해

3. 자신의 영역을 주장하기 위해 

 

그래서 개가 울부짖는 행동도 무리생활을 했던 강아지의 옛 습성이라고 추측합니다 

 

오늘은 늑대와 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부해보니 늑대와 개가 비슷한 점이 정말 많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알면 알수록 흥미롭고 재미있는 공부입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이상 강아지백과사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