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24. 22:28ㆍ반려동물지식
안녕하세요 시바견을 키우는 강아지백과사전입니다
반려견을 키운다면 강아지들의 행동 언어를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강아지는 사람처럼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행동으로 카밍시그널을 보냅니다
그런데 주인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해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반려견은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문제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행복하고 돈독한 유대관계를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반려견과 꾸준한 정서적 교감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강아지의 행동으로 알 수 있는 시그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쁨, 호감 등을 나타내는 행동
1-1 주인의 입이나 손을 핥는다
새끼 늑대는 어미의 입을 핥아 먹이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
어미의 입을 계속해서 핥으면 자극을 받아 어미가 먹었던 음식을 토하게 됩니다
이는 음식 소화력이 약한 새끼 늑대가 먹기 좋게 잘 다져져 있는 이유식입니다
새끼 늑대는 이를 먹으며 성장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오늘날 자연스럽게 강아지에게도 이어져 왔습니다
야생에서 생활했던 과거 강아지들과 달리 오늘날의 반려견들은 주인의 보호 아래 음식을 잘 섭취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강아지가 주인의 입이나 손을 핥는 행동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서가 아닌 주인에 대한 복종과 애정의 표현입니다
강아지의 애정표현을 계속해서 거절한다면 사람과 마찬가지로 마음에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뽀뽀를 싫어하더라도 가끔은 반려견의 애정표현을 받아 주는 게 좋습니다
낯선 상황 또는 강아지를 만날 경우 반려견이 주인의 손을 핥는다면 자신에게 관심을 써달라는 시그널일 수도 있습니다
이때 강아지가 질투심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행동을 취해주는 게 좋습니다
1-2 배를 보이며 눞는다
반려견을 만지기 위해 손을 올리면 자연스럽게 배를 보이며 벌러덩 눞거나, 배를 보이면서 자고 있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장기가 모여있는 배는 강아지들에게 급소와 같습니다
자신의 급소를 노출시켜 보인다는 것은 상대방에 대해 당신을 신뢰한다는 의미입니다
주인에게 배를 보인다면 반려견과 신뢰관계가 잘 형성되어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면 부드럽게 강아지의 배를 만져주며 따뜻한 온기를 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들에게 배를 보인다면 너에게 공격할 마음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신보다 우위라고 생각하는 경우 미리 배를 보이며 다툼을 피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2) 불안, 긴장, 화남을 나타내는 행동
2-1 털과 꼬리를 곤두세운다
강아지의 털이 뾰족하게 세워져 있는 경우는 위협, 분노의 감정을 느껴 근육이 수축함으로써 생겨지는 현상입니다
낯선 강아지에게 이러한 행동을 보인다면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입니다
강아지는 무리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영역을 지키려는 본능이 있습니다
동물들에게 몸이 크다는 것은 강하다는 의미를 가졌기 때문에 위협을 느끼는 적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크게 보이게 하려는 것입니다
굉음 또는 위협적인 상황에 공포감을 느낄 때 사람의 몸에 소름이 돋을 때가 있습니다
강아지도 마찬가지로 극한 공포감을 느낄 때 털과 꼬리가 뾰족하게 올라옵니다
이는 강아지가 극도의 긴장감과 공포감을 느끼고 있다는 시그널입니다
이때는 강아지가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스킨십을 조심해야 합니다
예민한 상황에서 주인이 만지면 자신도 모르게 공격적인 성향이 나와 주인을 물 수도 있습니다
2-2 하품을 할 상황이 아닌데 하품을 한다
반려견이 잘못을 해서 꾸중을 하고 있을 때 주인의 말을 무시하는 것처럼 꺼억 소리를 내며 하품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아지의 시그널을 이해하지 못하는 주인은 반려견이 나의 말을 무시하는 건가? 생각하며 화가 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주인의 말을 무시해서 하는 행동이 아닙니다
강아지의 언어로는 꾸중을 들으며 긴장감을 느끼기 때문에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하품을 하는 것입니다
주인에게 잘못했어요 다음부터 그러지 않을 테니 꾸짖지 말아 주세요라고 말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와 있을 때 하품을 한다면 당신을 공격할 마음이 없으니 우리 싸우지 마요라는 의미입니다
차를 태웠을 때 반려견이 하품을 한다면 차멀미를 해서 일 수도 있으니 이를 유의 깊게 바라보면서 적절한 휴식을 취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은 강아지의 카밍시그널에 대해 포스팅하여보았습니다
강아지는 주인에게 사랑받기 위해 주인의 행동을 관찰하며 행동합니다
반려견이 우리에게 보내는 카밍시그널을 이해하지 못해 의사소통에 갈등이 생긴다면 반려견과 견주 모두 행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반려견을 이해하기 위한 견주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내일은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시바견을 키우는 강아지백과사전이었습니다
'반려동물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들이 좋아하는 행동과 싫어하는 행동 (0) | 2022.02.26 |
---|---|
강아지 입양 전 체크해야할 사항 (0) | 2022.02.25 |
사모예드의 특징과 분리불안 (0) | 2022.02.22 |
나의 강아지 김군과 오늘의 일기 (0) | 2022.02.21 |
강아지가 주인의 소중한 물건을 물어 뜯는 이유? (0) | 2022.02.20 |